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느티나무 창원시장애인부모회 부설 창원발달장애인가활센터

탑메뉴

메인메뉴

발달장애가 삶의 제약이 되지 않는 창원

서브메뉴

정보제공

복지정보 소개/안내

복지정보 소개/안내

[언론스크랩] 발달장애인도 스스로 경제활동 합니다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996회 작성일 21-11-15 17:36
일자리·사회생활 실태조사

발달장애인도 스스로 경제활동 합니다이미지 크게 보기

24% “일한다”
71.5% “직접 쓰는 돈·카드 보유”
90% “혼자 물건 사봤다”
 

지난 5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발표한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보면 발달장애인의 경제활동과 소비생활을 엿볼 수 있다. 발달장애인의 생활 및 취업실태·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첫 조사였다. 지난해 5월 기준 만 15세 이상 발달장애인 1685명을 대상으로 취업과 일자리, 사회생활 등을 조사·분석했다.

발달장애인의 24.0%가 취업 상태였으며, 76.0%가 미취업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취업 이유에 대해서는 ‘돈을 벌기 위해서(생계를 유지하기 위해)’가 3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립을 준비하기 위해’(24.9%), ‘당당히 사회에 참여하려고’(23.6%), ‘일하고 싶어서’(7.6%), ‘낮 시간을 보내려고’(7.1%), ‘작업기술과 기능 등을 배우려고’(1.2%)가 그 뒤를 이었다.

일자리 유형은 ‘공장에서 일한다’가 36.5%로 가장 많고, ‘음식점이나 마트에서 일한다’(20.3%), ‘사무실에서 일한다’(18.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중 업무에 완전히 적응한 경우는 76.9%로 나타났으며, 22.3%는 일부 적응했고, 0.9%는 전혀 적응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발달장애인 10명 중 7명꼴인 71.5%가 ‘본인이 직접 쓸 수 있는 돈이나 카드가 있다’고 답했다. 대부분(90.3%)이 혼자 물건을 사본 경험이 있었다. 발달장애인 취업자의 75%는 일하고 받는 금액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33%가 금액이 적다고 생각했다. 또 일할 때 장애인이라고 놀림을 받은 경우는 8.3%였다. 응답자의 46%가 ‘부모님이나 다른 사람에게 말했다’고 답한 반면, 45%는 ‘가만히 있었다’고 답했다.

스마트폰 활용과 관련해서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비율(32.1%)을 포함해 ‘사용하지 못한다’는 응답이 46.3%였으며, ‘사용이 가능하다’는 응답은 31.9%였다.

출처 : 경향신문, 이유진 기자

배너

카피라이터

사)경상남도장애인부모연대 창원시지회 부설 발달장애인가활센터
주소.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로 99 (흥국생명 3층) / Tel. 070.7774.2021 / Fax. 055-242-2263 / E-mail. cwbumo1004@daum.net
Copyright(C)gahw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