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스크랩] 활동지원사 경력 따른 차등 단가 적용 필요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이하 누림센터)가 도내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제공기관의 운영현황과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근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경기도 돌봄노동자의 처우개선 및 지원 조례’가 제정(2021년 10월 6일)됨에 따라 제공기관 운영 및 활동지원사 근무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구축하고자 경기도에서 처음 실시됐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도내 장애인은 주로 활동보조(93.3%)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방문목욕 4.5%, 방문간호는 2.2%로 나타났다.
제공기관에서 활동지원 사업수행에 따른 가장 큰 어려움으로 ‘활동지원사의 부정수급 관리’와 ‘당사자와 활동지원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각 22.5%로 가장 높았고 지역적 특성으로 군 단위 지역의 경우 ‘활동지원사 모집의 어려움’의 의견도 있었다.
활동지원사 응답자의 86.8%는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4.6세로 가계의 수입 마련을 위해 활동지원사로 근무하는 경우가 82.1%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활동지원사, 제공기관 설문과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도적 발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활동지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확대, 활동지원사 경력에 따른 차등 단가 적용, 지자체간 연계를 통한 부정수급 관리체계 마련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할 것으로 비춰졌다.
이 조사는 제공기관 종사자와 활동지원사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집단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제공기관 182개 소와 활동지원사 910명을 대상으로 약 2주간 실시됐고 85개 소, 320명이 응답했다.
실태조사 감수위원으로 참여한 김정희 본부장(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본부)은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경기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해, 실효성 있는 정책과 개선 방안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동수 팀장(누림센터 전략기획팀)은 “이번 실태조사에서 나온 유의미한 데이터를 통해 경기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중증장애인의 질 높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장애정도별 차등단가 적용 등 관련 여건이 잘 조성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는 누림센터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경기도 돌봄노동자의 처우개선 및 지원 조례’가 제정(2021년 10월 6일)됨에 따라 제공기관 운영 및 활동지원사 근무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구축하고자 경기도에서 처음 실시됐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도내 장애인은 주로 활동보조(93.3%)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방문목욕 4.5%, 방문간호는 2.2%로 나타났다.
제공기관에서 활동지원 사업수행에 따른 가장 큰 어려움으로 ‘활동지원사의 부정수급 관리’와 ‘당사자와 활동지원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각 22.5%로 가장 높았고 지역적 특성으로 군 단위 지역의 경우 ‘활동지원사 모집의 어려움’의 의견도 있었다.
활동지원사 응답자의 86.8%는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4.6세로 가계의 수입 마련을 위해 활동지원사로 근무하는 경우가 82.1%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활동지원사, 제공기관 설문과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도적 발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활동지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확대, 활동지원사 경력에 따른 차등 단가 적용, 지자체간 연계를 통한 부정수급 관리체계 마련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할 것으로 비춰졌다.
이 조사는 제공기관 종사자와 활동지원사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집단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제공기관 182개 소와 활동지원사 910명을 대상으로 약 2주간 실시됐고 85개 소, 320명이 응답했다.
실태조사 감수위원으로 참여한 김정희 본부장(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본부)은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경기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해, 실효성 있는 정책과 개선 방안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동수 팀장(누림센터 전략기획팀)은 “이번 실태조사에서 나온 유의미한 데이터를 통해 경기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중증장애인의 질 높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장애정도별 차등단가 적용 등 관련 여건이 잘 조성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는 누림센터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관련링크
- http://abnews.kr/1YJt 3735회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