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스크랩] 국내 장애인 절반 이상은 노인···청각·발달장애 증가세

일러스트. 김상민 기자
국내 등록장애인의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 노인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 중 지체장애는 비중이 감소했고 청각·발달·신장장애는 늘어났다.
보건복지부는 제43회 장애인의날(4월20일)을 앞두고 ‘2022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통계’를 19일 발표했다. 국내 등록장애인은 지난해 말 기준 265만2860명으로 전체 인구의 5.2%에 해당한다.
15개 장애유형 중 지체장애가 44.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청각장애(16.0%), 시각장애(9.5%), 뇌병변장애(9.3%), 지적장애(8.5%)가 뒤를 이었다. 희소한 장애유형은 뇌전증장애(0.3%), 심장장애(0.2%), 안면장애(0.1%) 등이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새로 등록한 장애인은 7만9766명으로 청각장애(32.0%), 지체장애(16.7%), 뇌병변장애(15.2%), 신장장애(10.3%) 순으로 비중이 컸다.
전체적으로 지체장애는 감소 추세였고 청각, 발달, 신장장애는 증가세를 보였다. 2011년 52.9%를 차지했던 지체장애는 지난해 44.3%로 비중이 줄었다. 청각장애는 2011년 10.4%에서 지난해 16.0%, 발달장애는 2011년 7.2%에서 지난해 9.9%, 신장장애는 2011년 2.4%에서 지난해 4.0%로 늘었다.
인구 고령화로 새로 등록하는 노인 장애인도 많아졌다. 지난해 새로 등록한 장애인 약 8만명 중 70대가 약 2만명(24.7%)으로 가장 많았고, 80대 이상이 약 1만2000명(20.0%)으로 뒤를 이었다. 현재 등록장애인 중 가장 비중이 큰 연령대도 60대(약62만6000명·23.6%)이다. 다음으로는 70대가 약 57만4000명(21.6%)으로 많았다.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52.8%(약 140만2000명)로 절반이 넘는다.
등록장애인 중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은 98만3928명(37.1%), 심하지 않은 장애인은 약 166만8932명(62.9%)이었다. 남성 장애인은 153만4655명(57.8%), 여성 장애인은 111만8205명(42.2%)으로 남성 장애인이 조금 더 많았다.
등록장애인 3명 중 1명 이상은 수도권에 살았다. 등록장애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인 경기(58만4834명·22.0%)와 서울(39만1859명·14.8%)을 합치면 36.8% 수준이다. 세종(1만2863명·0.5%)에 거주하는 등록장애인이 가장 적었다.
해당 통계자료는 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와 KOSIS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출처 : 경향신문, 민서영 기자
관련링크
- 이전글[언론스크랩] ADHD·자폐 진단받은 과학자…"당신의 다름을 악마 취급하지 마세요" 23.04.28
- 다음글[언론스크랩] 발달장애 김성민 바이올리니스트 독주회 23.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