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스크랩] 발달장애 조기진단 및 치료 위한 한국형 임상가이드라인 발간
- ASD 문제행동 평가 및 치료과정 흐름도
최근 '발달장애 진단과 치료를 위한 한국형 임상가이드라인 2024'이 발표됐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서울대병원 발달장애인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중앙지원단(단장 김붕년, 이하 중앙지원단)이 최근 '발달장애 진단과 치료를 위한 한국형 임상가이드라인 2024'을 발표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중앙지원단을 중심으로, 전국 발달장애인거점병원이 국내외 임상지침과 최근 10년간의 연구·문헌을 총망라해 개발한 근거 기반 안내서다.
의료전문가뿐 아니라 발달장애인과 가족, 시민단체 및 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필요한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고, 발달장애의 조기진단 및 통합적 치료에 있어 최선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제작됐다.
장애인복지법에 따르면 발달장애는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해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와 자폐증으로 인해 언어·신체표현·자기조절·사회적응 기능에 제약이 있어 도움이 필요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포함한다.
- '발달장애 진단과 치료를 위한 한국형 임상가이드라인 2024'
ASD 문제행동 평가 및 치료과정 흐름도
발달장애 중에서도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중심으로 개발된 이 안내서는 △임상 양상과 역학 △진단 및 평가 △치료 원칙 및 생애주기별 중재 △교육 및 행동중재 △도전적 문제행동 중재 △공존질환치료 및 약물치료 6장으로 구성됐다.
특히 비의료인의 이해와 치료 선택을 돕기 위해 전문 의학용어보다는 가급적 쉬운 표현을 사용했고, 치료옵션별로 상세한 제언을 덧붙였다. 또한 유아동기에 초점을 맞춘 다른 지침서들과 달리,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성을 고려해 전 생애주기에 걸친 내용으로 구성한 것도 이 안내서의 특징이다.
중앙지원단, 2024 오티즘엑스포에 참여해 안내서 소개 예정
한편, 서울대병원 중앙지원단은 전국 12개 발달장애인거점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와 함께 오는 12일부터 개최되는 '2024 오티즘엑스포'에 참여해 이 안내서를 소개하고, 발달장애에 대한 통합적 정보를 제공하는 홍보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붕년 중앙지원단장(소아정신과)은 "이 임상가이드라인은 발달장애인과 가족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친화적 안내서'를 지향한다"며 "과학적 최신 근거와 전문가의 제언을 토대로 의료현장에서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을 증진하는 최선의 의사결정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링크
- 이전글[언론스크랩] 자폐 아들 데려온 할머니가 웃었다…세계 최대 발달장애 축제 만든 사연 24.07.11
- 다음글[언론스크랩] “발달장애인 달라지는 모습 볼 때 행복” 24.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