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스크랩] "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효과 뛰어나지만 활용도 저조"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도구가 지역사회에 더 널리 보급되려면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수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AAC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제언하는 세미나가 지난 1일 오후 2시 창원시 의창구 사림동 경남도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AAC는 구어를 대체·보완하기 때문에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중증 장애인에게 높은 활용도를 보인다. 그러나 일부 장애인복지센터와 특수학교에서 시범적으로 활용될 뿐 대다수가 쓰지 않고 있다.
전현숙(국민의힘·비례) 경남도의원은 "AAC의 적극적인 홍보와 인식 변화가 우선돼야 한다"며 "특수학교 등의 교육기관 AAC 보급, 지역사회와 연대해 AAC 확산이 필요하며, 교육기관에서부터 보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법과 제도의 개선 역시 이루어져야 한다"며 "국회 차원에서 관련 법령의 개정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그 길이 멀다면 지방자치단체 조례로 제도를 개선할 수 있다. 경남도의원으로서 이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실질적인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경임 국립창원대 특수교육과 교수가 지난 1일 오후 2시 창원시 의창구 사림동 경남도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석환 기자
창원발달장애인가활센터는 지난해 10월부터 마산지역장애인권익옹호협의체에서 제작한 AAC를 경남지역 주간활동센터 15곳에 배포했다. 그 결과 소통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의 고충이 해소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수민 창원발달장애인가활센터 팀장은 사례발표에서 "교사가 직접적 상황에 맞는 그림을 손으로 제시하고 알려주는 과정을 반복했더니 중증 장애인이 직접 책을 찾아 말과 함께 개인 의사를 드러내는 모습으로 발전한 사례가 있었다"며 "특히 소통 부족으로 생긴 분노를 소화기를 보면 달려가서 발로 차는 돌발행동을 하거나 자해했던 중증 장애인의 경우 분노 표출이나 자해 빈도수가 크게 줄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AC가 효과적이라는 걸 지역사회에 알리고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의사소통 도구로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며 "그러려면 종사자, 이용자 교육과 제도적인 정책 기반 마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지효 사회적협동조합 정나룸 센터장은 30~40대 지적장애인 사례를 들었다. 그는 "AAC 사용 후 돌발행동, 자해 빈도수가 기존 10번 정도에서 5~6번으로 현저히 줄었다"며 "장애인들과 원활하게 소통돼 하루하루 놀라고 있고, AAC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느낀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도 ACC의 높은 활용도를 강조했다. 이날 기조 강연에 나선 한경임 국립창원대 특수교육과 교수는 "의사소통이 오직 말로만 이뤄진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많은 이가 AAC는 구어 발달을 방해하거나, 멈추게 한다고 오해하지만, 오히려 AAC는 더 말을 많이 하게 하고 표현력을 늘려주는 기능을 한다"고 말했다. 그는 "뇌성마비는 뇌 손상 문제 탓에 보조 수단을 쓴다고 해서 우리가 일상에서 말하는 것처럼 유창하게 대화하기는 어렵지만, 유의미하게 의사를 전달하는 능력은 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석환 기자 csh@idomin.com
출처 : 경남도민일보(https://www.idomin.com)
관련링크
- 이전글[언론스크랩] 장애인 거주환경 ‘자립형’으로 새 단장 24.11.20
- 다음글[언론스크랩] 홀트강동대학 홍예지씨, 제5회 자폐성 장애인 그림공모전서 최우수상 영예 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