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느티나무 창원시장애인부모회 부설 창원발달장애인가활센터

탑메뉴

메인메뉴

발달장애가 삶의 제약이 되지 않는 창원

서브메뉴

도서검색

도서검색

도서검색
[문학] 814.6-김66ㄷ
달개비꽃
김원숙 저
2002|도서출판경남
ISBN : 9791189176679
중견소설가 정길연의 소설집. 「화요일의 낙법」과 「달개비꽃」은 인간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에 입각한 문화를 일구어야 할 필요성을 드러내고 있다. 두 작품에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색채가 가득하나, 다른 세계로 건너갈 일말의 여지를 작가는 남겨 두고 있다. 「화요일의 낙법」의 ‘종희’, 「달개비꽃」의 ‘낯선 남자’가 이에 해당한다. 그들은 딱히 의무감을 느껴야 할 관계가 아니며, 익수ㆍ지요에게 아무런 기대도 갖지 않은 채, “조건 없는 호의”를 정성스럽게 베풀고 있는바, 인간의 내면에 흐르는 이와 같은 정서가 아마도 새로운 사회 구성의 근거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정길연 소설의 주인공들은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깊은 병을 앓고 있으며, 경제적 곤란 또한 심각하다. 「화요일의 낙법」에서 “오래도록 수입이 전무한 금치산자” ‘익수’는 제 몸 하나 까닥하지 못하는 말기 신부전 환자로서 누워 지내는 형편이다. 「달개비꽃」의 ‘지요’는 기립성저혈압에 시달리는 한편 미주신경성 실신으로 갑작스럽게 픽 쓰러져 버리기도 한다. 「화요일의 낙법」, 「달개비꽃」에는 평안과 위안을 제공하는 심리적 지지대로서 가족의 상이 전무하다. 이러한 양상을 낳게 된 원인이라면 우선 젊은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꼽게 된다. 「화요일의 낙법」에서 익수 부친은 마흔셋 나이에 죽어 익수로 하여금 ‘운명의 표적물’이 되도록 만들었고, 「달개비꽃」에서 지요 아버지는 마흔하나에 뇌일혈로 쓰러져 죽음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목록

배너

카피라이터

사)경상남도장애인부모연대 창원시지회 부설 발달장애인가활센터
주소.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로 99 (흥국생명 3층) / Tel. 070.7774.2021 / Fax. 055-242-2263 / E-mail. cwbumo1004@daum.net
Copyright(C)gahw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