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813.7-한82ㄱ
그 남자의 연애사
지은이: 한창훈
2013|문학동네
ISBN : 9788954621724
숱하게 아픈 사연에도 불구하고 끝내 불행하다 말할 수 없는 건
‘사랑’이 시간이 흘러 색이 좀 바라고 모양도 좀 낡아지면 어느덧 우리들의 사랑은 어엿한 연애 일지 중 한때의 기록으로 둔갑되어지는 게 다반사였다. 그 연애의 역사를 평생 숨겨온 투박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떠나버린 사람은 저만치인데 옆사람 붙들고 울고불고 떼쓰다 보란 듯 아무 일 없이 다시 또 사랑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사람들의 놀라운 사랑 재생력에 한번은 눈을 번쩍 뜨고 놀랐던 적이 적잖았던 것 또한 사실.『그 남자의 연애사』 속 그런 사랑 저런 사랑 애린 사랑 떠난 사랑 등속에서 가슴 뜨끔하지 않을 사람 누구일까. 외로움이었을 것이다. 그 외로움이란 게 어쩌면 사람을 한없이 순하고 원초적으로 만들어놓았을 것이다. 그래서 좋아하게 만들고 사랑하게 만들었을 테니, 사랑이 뭐 별거겠나, “같이 밥 먹고 잠 잘” 사람과 함께 하는 그 단순한 이치를 몰랐을 뿐. 삶은 뭐 또 다르겠나. 사랑이나 삶이나 겪어내는 이치 또한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을 터.
끊임없이 누군가를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 애생이 물었을 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저절로 그렇게 되는 것이어서 나도 어떻게 할 수가 없어. 아마도 여자들이 모두 거기에 오아시스를 숨기고 있기 때문이겠지 뭐.
-「애생은 이렇게」중에서
오아시스라 했던가. 살아 숨 쉬는 공기라 했던가. 누군가를 좋아하는 이유를 묻는 우문에 현답이 소설에 살짝 들켜 있었다. 한때 우리는 사랑에 전 삶을 바쳐 죽음을 불사하고(저항하고) ‘당신’에 빠져 허우적댔다. 그런데 지금, 그 숨 같던, 오아시스 같던 그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 찾으려 하면 더 못 찾아지는, 되돌리고 싶은 사랑의 과거를 다시 재현하기 위해 그는 그녀를 찾기 위해, “찾아 좀 주시오. 제발. 나는 그 여자 없으면 못 삽니다요”(「뭐라 말 못 할 사랑」)라 말해도 한번 떠나버린 사랑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당연한 이치를 왜 그때는 죽어도 알지 못했을까. 무지몽매하게 또 “우리는 왜 매번 그럴 수밖에 없는”(‘작가의 말’) 사랑에 자꾸 걸려드는 걸까. 소설 대부분의 단초를 만들어주는 대상의 부재. 그 속에서 우리는 다시 대상의 ‘잊힘’에 대해 또 생각할 뿐이다.
사랑해야 했던 건 살기 위한 한 방편이었으리라. 숨쉬기 위해 사랑하는 것. 살아내는 의지가 만들어낸 사랑. 예컨대, ‘작가의 말’을 보자.
“사랑을 뜻하는 스페인 말이 ‘amor’이다. ‘mor’는 죽음, ‘a’는 저항하다, 이다. 사랑은 죽음에 저항하는 행위인 것이다. 이 단어를 알고 나서야 독한 불면과 눈물을 감수하면서까지 사람들이 거듭 사랑에 빠지는 이유를 이해하게 되었다.”
참 무섭고 애끓는 것이 아닌가, 사랑은.
한창훈의 이번 신작 소설집 『그 남자의 연애사』 속 사랑 이야기는 삶과 사랑의 겸침이다. 그가 들려주는 편편의 사랑 속에는 삶의 무늬(의지)가 스며들어 있고, 우리가 겪는 삶(사랑)의 시작과 끝을 말하고 있으며 그 안에 파도치는 다양한 연애(삶의 무늬)의 형국이 섬세하게 갖가지 일화로 뻗어 있다. ‘사랑을 하자’가 ‘삶을 살자’로 읽히는 소설. 그런 연유로 이 소설집을 끝까지 다 읽고 나면 가슴이 먹먹하다가도 삶의 긍정 에너지로 가득 찬 의지를 다짐하게 된다. 외로운 사정으로 생겨난 숱한 아픈 사연들 속에서 꿈틀, 태동하는 삶의 의지. 바로 한창훈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수많은 연애사(事)를 통해 건네는 ’발로(發露)‘가 바로 그런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