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류] 050-피86ㄱ
그림으로 보는 진달래 꽃
피치마켓
2021|피치마켓
ISBN : 9791189712532
특별한 사람을 위한, 꼭 필요하지만 세상에 없었던 책 - 피치마켓 스물일곱 번째 이야기
"시, 이야기와 그림을 만나다."
교과서에서든, 지하철의 스크린도어에서든, 어느 골목 담벼락에서든, 우리는 꽤 자주 시를 접합니다. 하지만 시는 유독 어렵게 느껴집니다.
시는 비유나 상징, 또는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숨기는 방식으로 독자에게 말을 건넵니다. 독자는 시에 숨어 있는 맥락을 찾고 또 상상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억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기억과 경험, 배경지식을 시에 투영하기. 맥락을 상상하기. 그 과정을 거쳐 화자의 감정으로까지 나아가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느린학습자에게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하지만 피치마켓은 이런 상상을 해보았습니다.
‘시에 내포된 맥락과 감정을 느린학습자에게 전할 수 있다면?’
‘느린학습자가 시를 읽고 감상을 나눌 수 있다면?’
『그림으로 보는 진달래꽃』은 이러한 상상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피치마켓은 쉬운 글과 그림으로 전하는 첫 번째 시로,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선정했습니다. 「진달래꽃」을 그림문학도서로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 고민이 있었습니다. 시를 쉬운 단어로 풀어쓰기만 한다고 쉬운 시가 될까, 하는 고민에서부터 시의 반어적 표현을 어떻게 드러낼 수 있을까, 하는 데까지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고 나름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있었습니다.
『그림으로 보는 진달래꽃』을 작업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맥락을 드러내는 스토리텔링’이었습니다. 「진달래꽃」에는 이별과 그 순간의 감정만이 담겨 있습니다. 독자는 화자가 어떤 사랑을 거쳐 이별에 이르게 되었는지 상상해야 합니다. 그것을 단번에 상상하기 어려울 독자에게 시에는 없는 사랑의 순간을 이야기로 전하고자 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처음 만난 순간. 서로에게 사랑을 고백했던 순간. 서로 손을 잡고 걸었던 때. 이 시간을 안다면, 「진달래꽃」의 이별이 독자에게도 슬픈 사건이 될 거라고 기대했습니다.
「진달래꽃」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나를 버리고 떠나는 임에 대한 슬픔’으로 해석됩니다. 피치마켓은 그 슬픔을 드러내는 데 집중했습니다. 「진달래꽃」에 대한 독자들의 해석은 다양할 수밖에 없기에, 『그림으로 보는 진달래꽃』이 하나의 정답일 수는 없습니다. 그저 독자들에게 이 이야기가 「진달래꽃」에 가닿는 하나의 단서가 되었으면 합니다. 사랑과 이별과 슬픔을 떠올리게 하는, 작은 경험이 된다면 더할 나위 없이 반갑고 기쁘겠습니다.